본문 바로가기
뉴스

금일 북한 무인항공기 침투, 대응 출격한 국산 KA-1 경공격기 추락

by candy_man 2022. 12. 26.

12월26일(월)

금일 북한의 무인항공기가 남하하여 대한민국을

침범하는 사건이 발생한바,

 

우리군이 대응 출격중에 추락하는 일이 있었는데

기종이 KA-1이라는 경공격기라고 합니다.

 

이에 KA-1 경공격기가 우리군에 보유되어

있었는지 몰랐고,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지

궁금해서 대충 알아볼까 합니다.

 

 

KA-1 경공격기 출처 - 나무위키
KA-1 경공격기 출처 - 나무위키

 

 

◆ KA-1 경공격기

기본훈련기를 기초로 개발한 전선통제용 항공 전술/

경공격기로 2005년도에 대한민국 공군에 도입되어

약 20대 보유중이라고 합니다.

 

 

◆ KA-1 경공격기의 임무

전선 통제기로서의 임무와 경공격기로서의 임무 2가지

이며,

 

주요임무는

북한의 침투용 고속정을 방어하는 것이라 합니다.

 

 

◆ KA-1 경공격기의 무장능력

무장을 달수있는 하드포인트는 양날개에 2개씩,

총 4군데와 동체 중앙에 1개 모두 5군데입니다.

 

기본무장은

① 70mm 로켓과 ② 12.7mm 기관총 건포드입니다.

 

동체 안쪽에 대형 투하폭탄처럼 달린것이 건포드이고,

바깥쪽 파일런에 마치 공대공 미사일처럼 보이는 것이

70mm 로켓입니다.

 

- 70mm 로켓 (2.75인치)

  lau-131 7연장 로켓포드 2개를 장착해 최대 14발을

  탑재할수 있습니다.

 

  또는  

  70mm 로켓 17발을 장착하는 lau-3/a 을

  장착할수  있습니다.

 

 

- 건포드

12.7mm 기관총과 250발의 기총탄을 장전하고 있습니다.

발사속도는 분당 1.025발, 사정거리는 3km 입니다.

 

 

◆ KA-1 경공격기의 한계점

본격 경공격기로 사용하기에는 기체의 체급이 매우 작습니다.

 

즉,

무장이나 항전장비를 충분히 탑재할수 없습니다.

 

 

◆ KA-1 경공격기의 활용목적

개발 당시에는 전선통제기로서의 활용을 미리 염두

해두고 공격 능력이 강화된 전선통제기를 개발한다는

목표가 있었지만,

 

본격 공격기 역할을 부여할 계획은 없었다고 합니다.

즉, 많은 무장을 탑재할 계획이 없었다는 겁니다.

 

 

KA-1은

전세계적으로

국가간 대규모 정규전/ 전면전보다는 

게릴라전 등 비정규전이 주된 전쟁의 형태가 되고 있고,

 

당시

세계적으로 국방비 지출도 점차 축소되고 있어서 이런

비정규전에 적합한 값싸고 유지비가 적게드는

경공격기의 수요를 감안해서 만들어진 기종이라 할수있습니다.

 

 

◆ 대한국민외 KA-1 경공격기 보유국가

 

    - 페루 

      보유년도 - 2013년

      도입대수 - 20대

 

   - 세네갈

      보유년도 - 2020년

      도입대수 - 4대

 

 

한국 장날 개장일, 총정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