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22년 현재, 한국의 상위 1% 부자 기준은?

by candy_man 2022. 12. 21.

우리나라 인구수

5182만 9203명 (2020년 12월 말 기준)

이중 상위 1% 안에 들기 위해서는

 

적어도 16만 8천명 안에 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부동산 등 기타자산 제외한

순수 현금자산이 10억이상 보유한 사람

이라 합니다.

 

그렇다면

2021년 통계 기준 한 해 동안 대한민국

전체 인구수 대비 상위 1%안에 드는

사람들은 얼마나 증가했을까?

 

그리고

2023년 내년에도 계속해서 상승할까?

 

 

경남 통영 중앙시장 앞 바다 야경
경남 통영 중앙시장 앞 바다 야경

 

만약 당신이

위 질문에 답할 수 있다면

 

아마도 상당히 높은 확률로

고소득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일반 직장인이라면 저런 통계자료나

기사를 쉽게 접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보통 언론사에서는

대기업 임원급 연봉 혹은 의사 변호사 같은

전문직 종사자만을 대상으로 보도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나보다 더 뛰어난

사람에게는 항상 뒤처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상대적 박탈감이라는 감정

또한 느끼게 됩니다.

 

물론

나는 그런 감정 따위는

전혀 느끼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장담하건대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세상엔

나와 비슷한 수준의 사람만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에겐 각자만의

고유한 가치가 있고 그것은 절대로

남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소중하니까요.

 

그러니

부디 타인과의 비교 속에서

자신을 깎아내리는 일만큼은 하지

않길 바랍니다.

 

 

돈 버는 방법이야 다양하겠지만

단순하고 지루한 말 같지만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돈버는 핵심 포인트 3가지

첫째, 노동 소득
둘째, 자본 소득
셋째, 시스템 소득

 

먼저

노동 소득은 일을 해서 벌어들이는

수입을 말합니다.

 

직장인 월급이나 자영업자 매출액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다음으로 자본 소득은 부동산 임대료나

주식 배당금 같이 고정된 수익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득을 뜻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소득은 별다른 노동 없이 자동으로

창출되는 소득을 가리킵니다.

 

쉽게 말해

건물주가 월세 받는 것처럼

가만히 있어도 들어오는 불로소득을 일컫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산을 축적하려면

우선  그 출발점은 명불허전~

종잣돈 마련이 필수입니다.

 

그리고

일정 규모 이상의 목돈이 모이면

본격적으로 재테크를 시작해야 합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리스크 관리입니다.

 

자칫 무리하다가

한순간에 모든 걸 잃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분산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울러 절세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도

지 말아야 합니다.

 

 

전국 장날 개장일 총정리

26년 월드컵 개최국은 어디?

 

댓글